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921757
구독경제 시대, ‘렌탈쇼핑’ 5년 새 5배 껑충
www.newstomato.com
구독경제 시대, ‘렌탈쇼핑’ 5년 새 5배 껑충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일정액을 내면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이른바 ‘구독소비’가 부상하고 있다. G마켓 렌탈 서비스 판매 신장률 및 사용 고객 연령 비중. 사진/이베이코리아 23일 G마켓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렌탈 서비스 판매 데이터를 산출한 결과, 올 초부터 이달 16까지 거래된 렌탈 서비스가 2014년 동기간 대비 5배 이상(44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인기 품목은 안마의자다. 안마의장 판매량은 올 들어, 지난해 동기 대비 435% 상승했다.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필수가전으로 자리잡고 있는 의류건조...
www.newstomato.com
(배경)
①구독경제 : ‘티엔 추오’의 주오라 CEO가 처음 사용. 매월 일정한 금액을 내고 필요한 물건을 받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제활 동
②저성장 시대의 밀레니얼 세대→ 영구적인 소유는 짐, ‘현재나 나 자신’의 삶의 질 향상, 다양성 추구하는 성향
②기술 발전 : 혁신 기술과 디지털 플랫폼 → 구독시장 활성화
(종류)
①정기배송모델 : 월 구독료를 지불하면 특정 제품을 지정 장소로 정기배송
②렌탈모델 : 고가의 가전제품 등을 월마다 일정금액 내고 사용
③넷플릭스모델 : 구독료 납부시 다양한 콘텐츠 이용가능.(무제한형 구독 경제모델)
(상품 및 서비스군)
①인기품목 : 안마의자, 의류건조기,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커피머신, 인덕션, 펫드라이룸, LED마스크 등
②자동차구독서비스 : 유명자동차 제조사 등 연이어 서비스 제공
②항공구독서비스 : 서프에어항공상, 비행기로 무한정 미·유럽 오갈 수 있는 월정액
③게임 : LG U+, 5G기반의 클라우드게임 서비스 준비→ 지포스나우(GeForce Now)
(장점)
①AI+빅데이터를 통한 소비자의 성향 파악↑→ 개인 맞춤형 구독 서비스 성장가능성↑
②구독시장 규모 469조(2016년)→ 594조원(2020년) 성장할 것으로 전망
③한정적인 소득으로 원하는 것을 다 가질 수 없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맞춤형 소비형태로 전환
④자신이 필요한 만큼만 소비→ 타인에게도 공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도↑, 무분별한 낭비방지(환경보호)
(단점)
①구독경제를 이용하는 소비자문화 미흡→ 자기 소유의 물건이 아니라서 함부로 사용, 반납X, 방치
②공유경제 산업 확산으로 기존의 사업의 반발 가능성有→ 예)카풀서비스vs택시 →정부의 적절한 규제必
③’빈지워칭’(Binge ; 폭음, 폭식) : 한꺼번에 몰아 시청하는 습관→ 구독 경제에서는 심각한 현상(과소비, 소비자 잉여 발생)
(대응점)
①구독경제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카드 결제 필수→ 다양한 콘텐츠(상품)을 구독시에도 페이백 서비스必
②구독서비스와 은행의 MOU체결로 더 많은 고객들의 취향을 섭렵→ 관련 상품·서비스 제안 및 이용률↑
③빈지워칭에 대응하여 금융 앱에서 쉽게 구독 취소를 누를 수 있는 서비스 필요(구독 취소 사이트에서는 취소버튼을 찾거나 발견하기 힘듦)→ 소비자의 알뜰 소비에 일조, 사회적 금융서비스 실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