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벤처투자 1조8천966억원…상반기 기준 최고기록 | 연합뉴스
상반기 벤처투자 1조8천966억원…상반기 기준 최고기록, 김보경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19-07-18 12:00)
www.yna.co.kr
(배경)
①2017년 문재인정부 출범이후 실시한 추경→ 모태펀드 재원 투입을 8천억원으로 상향→ 투자환경 개선
②창투사 설립자본금 20억원으로 완호, 벤처캐피탈 세제혜택→ 민간 펀드 참여↑·투자 증가
③벤처투자시장이 성숙→ 비상장기업 중 기업가치가 10억달러인 유니콘 기업 수가 대폭 증가
④신규 유니콘 기업의 탄생 + 2019년 신규 벤처투자액 역대 최고치 달성 = 제 2 벤처 붐 확산 가시화
(긍정)
①’모태펀드’는 정부가 예산을 벤처 기업 또는 창업투자 조합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닌 밴처캐피털에 투자하는 방식
→ 간접적인 투자로 위험을 분산, 수익을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음
②벤처기업의 경우 스스로 투자자금을 조달하기 어렵고, 유형자산보다 무형자산이 많아 금융권에서 조달 받기 어려움
(단점)
①부동산 시장의 침체→ 거액 개인투자자가 벤처투자에 등장→ 주가 폭등
②VC(벤처투자)의 한계점 : IPO를 통한 자금회수가 대부분, 우량기업의 경우 주관사 선정에 있어 지분들을 들고 있는 VC가 결정적인 역할을 함. 비공식적인 바터 거래나 리베이트 등의 행위가 발생→ 다른 운용사들이나 일반 투자자들에게 명백하게 피해주는 행위
③투자할 스타트업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 투자금액이 몰리면 스타트업의 기업가치(벨류에이션)가 실제보다 부풀려질 수 있음→ 후속 투자를 받기 어려워 질 수 있음
④증권사나 은행 등 전통 금융기관들이 잇달아 벤처투자에 뛰어들면서 전문인력이 부족→ 제무제표에 기반한 기업평가에 익숙한 전통투자인력→ 벤처투자 업무에 생소함을 느낄 가능성↑
(대응점)
①벤처캐피털을 이용시 미래 고객인 벤처 기업과의 관계를 맺기 가장 좋음
②단, 리스크관리(개발리스크, 제조리스크, 마케팅리스크, 관리리스크, 성장리스크)를 다각도로 모니터링하여
VC업계의 자구노력이 필요함(M&A를 통한 단기수익→ 벤처시장 전체의 경쟁력을 악화시키기 때문)
③벤처기업의 M&A 절차 관소화·전문성 확보 → 벤처기업의 성장, M&A부정적이미지 개선이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