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김현미 '부동산 과열 되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검토'

gomu_inspirer 2021. 7. 6. 08:09
반응형

 

https://www.sedaily.com/NewsView/1VKKHQSPA6

 

김현미 '부동산 과열 되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검토'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26일 서울 양천구 방송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패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집값이 조금이라도 과열되면 즉각 여러

www.sedaily.com

 

김현미 '부동산 과열 되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검토'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26일 서울 양천구 방송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패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집값이 조금이라도 과열되면 즉각 여러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

www.sedaily.com

(배경)

①기존에는 공공택지 위주로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 분양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의 2배수준의 상승→ 인근 지역의 주택가격까지 함께 상승→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실시

②분양가 상한제 = 감정 평가된 아파트 토지비 + 정부 기준의 건축비 → 분양가

③분양가 상한제로 건설업체의 이윤이 감소하기 때문에 반발이 심해지고, 신규 주택 공급량 감소, 기존주택가 공급량 상승(풍선효과발생)

(과거)

①최초 분양가 상한제 도입(1977년) : 가격 획일적→ 시장혼란초래

②민간 주택 분양가 상한제(2007년 9월 시행) : 꾸준히 상승(상한제효과X)→ 이후 금융위기로 주택 분양가 하락

(지역 지정)

①민간택지분양가 대상지역 : 서울 27개동(강남 4구, 마포구, 용산구, 성동구, 영등포구)

②조정대상지역 : 고양시, 남양주시, 부산 해운대구·동래구·수영구

(긍정)

①‘아파트 집값 상승의 악순환’ 끊기 : 아파트 고분양가→ 주변시세↑→ 전체 집값↑→ 아파트 고분양가

②낮은 분양가격으로 인해 주택 가격이 안정될 수 있음→ 잠재적 수요↑(내집마련 기회 제공)

③분양가 거품논란을 없애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질서 확립→ 분양권 전매가 제한돼 투기예방 효과가 有

(부정)

①주택공급의 유인책X : 시장위축, 공급물량 감소→ 아파트 희소성 부각

②특정지역의 분양시장 과열로 ‘로또청약’이라 불리는 우수 청약단지 쏠림현상 심화→ 주변 집값과 분양가격 차이有→ 아파트 투기 수요 유인

③건설사들이 건축비용을 줄이기 위해 고급자제, 입주자 편의시설, 단지 조경 등 배제해 주택 품질 악화

(시사점)

①정부가 공언한 ‘동 단위 핀셋 지정’도 한국감정원 자료가 불충분→ 사실상 불가능

②분양을 앞둔 단지들의 저항이 거세질 것→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③분양가 상한제 실시→ 아파트에 대한 잠재적 수요↑→ 대출 수요↑→ 해당 사업전략 검토 필요

④아파트를 많이 분양하는 건설사들의 수익성 하락→ 리스크 관리 강화

⑤노조분담↑, 시행이익↓→정비사업관련 대출 리스크 관리 필수

⑥청약 가점이 낮은 수요자→ 재고 주택 매수에 나섬(주거여건 좋은 새아파트, 많이 진행된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