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DB미래전략연구소 ‘신남방정책 2.0 추진을 위한 제언’

by gomu_inspirer 2021. 7. 19.
반응형

https://rd.kdb.co.kr/index.jsp

 

KDB산업은행

 

rd.kdb.co.kr

 

KDB미래전략연구소 | KDB미래전략연구소

KDB미래전략연구소는 산업과 국민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KDB산업은행의 Think Tank로서, 우리 경제의 혁신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대표 연구기관을 지향합니다. 주간KDB리포트 월간산업동향 KDB북한개발 China Next 산은조사월보 2020년 1월 (제770호) 바로가기 연구 자료 보기

rd.kdb.co.kr

신남방정책의 필요성

1. 경제/외교적 가치가 높은 아세안과의 협력기반 마련

① 신남방 지역(아세안 10국 + 인도) 경제의 높은 시장성과 성장성은 세계경제에서 주목할만한 수준

② 최근 미중 무역분쟁의 장기화로 중국 진출 제조기업들의 ‘탈중국’ 현상이 확대되면서 우리 기업은 베트남, 인니 등 신남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제조업 Global Value Chain에 참여할 필요

③ 외교적으로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미중 패권갈등이 격화되고 있어 포용적 지역구도 구축을 위해서는 아세안과의 협력 필요성이 더욱 확대

 

2. 한국경제의 수출 편중화 및 활력 저하 문제 해결

① 특정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는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경향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수출시장을 다변화할 필요

② 국내 경제활력 저하가 심화되고 있는 추세로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한 시점

3. 아세안의 다양한 개발 협력 수요 상존

① 아세안 국가들의 경제 발전 수준에 따른 협력 수요 차별화

② 아세안 경제공동체(AEC)의 출범과 함께 역내통합과 개발격차 완화를 위한 ‘연계성 제고’가 주요 아젠다로 부상하고 있어 초국가 대형 프로젝트도 다수 추진중

신남방정책의 성과 및 과제

1. 신남방 지역 진출기업 지원 체계 확충

① 그동안 한국은 아세안과의 협력관계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세안 지역에 대한 경제, 외교 정책의 축적이 미흡

② 우리정부는 ‘17.11년 신남방정책을 발표한 이후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인 신남방정책 특별위원회를 출범하고, 신남방 진출 지원협의체 등을 구성

2. 신남방 지역과의 교류 및 교역/투자 증가

① 90년대말 시작된 한류 혈풍이 현재까지 지속되는 가운데 아세안과의 교류 및 교역, 투자는 신남방정책 이후 더욱 확대

② 신남방정책 발표 이후 양자, 다자 회의를 통한 공감대 확대 및 포용적 지역질서 구축을 위한 상호의존성 확대

3.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를 위한 전략적 협력 토대 마련

신남방정책 발표 이후 양자/다자 회의를 통한 공감대 확대 및 포용적 지역질서 구축을 위한 상호의존성 확대

4. 베트남으로의 쏠림현상 심화

① 15년 한-베트남 FTA 및 최근 신남방정책에 힘입어 우리 기업의 베트남 진출이 급증하고 있으나 무역과 투자 등에서 베트남 쏠림 현상 심화가 우려되는 상황

② 이러한 쏠림현상은 2000년대 초반 중국에 진출이 집중되던 상황과 매우 흡사하며, 이후 성장세 둔화 등으로 나타난 리스크를 교훈 삼을 필요

5. 아세안과의 무역불균형 심화

한-아세안 교역의 증가와 함께 무역수지도 급증하는 가운데 무역 흑자의 2/3 이상이 베트남에서 발생하면서 무역 불균형 확대

신남방정책 2.0 추진을 위한 제언

1. 아세안 진출 거점의 다변화 및 상생모델 구축

① 베트남 쏠림현상으로 인한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제 2의 베트남 성공사례를 창출하여 아세안 진출 거점을 다변화할 필요

② 신남방정책 컨트롤타워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신남방정책 지원 로드맵을 마련하고, 아세안 국가별 경제발전 단계에 적합한 상생협력 모델 구축 지원

2. 상생번영을 위한 협력 방식의 다양화

① 기본적으로 무역, 투자 증진을 위해 개별국가와의 FTA확대를 추진

② 다른 한편으로는 무역불균형 해소를 위해 한국 중소기업들은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조달처와 판매처를 다각화할 필요

③ 제조업 육성 의지가 강한 아세안 주요국에 대해서는 정부간 파트너십과 산업 로드맵 공유를 통해 주요산업의 국산화와 기술이전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 모색

④ 현지 중소기업들의 지분 인수 및 M&A 등을 추진하며, 양국 기업간 상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함께 추진

3. 정부와 공공기관의 지원 역할 강화를 통한 협력 주체 다각화

① 신남방정책의 궁극적 목적인 한반도 주변의 평화체제 구축과 공동번영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한국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

② 신남방정책에 대해 과제 통할 및 단기 실적위주의 고제 수립이 아닌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컨트롤센터를 구축

③ 산재된 정책 및 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기획, 관리 및 지원이 필요

④ 공공기관과 정책금융기관은 신남방지역 경협 성공사례 도출의 구심점이 되어 정부의 외교적 입지 강화와 민간의 해외투자 수익성 제고에 있어 시너지를 일으키는 주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필요

맺음말

① 아세안 국가들은 ‘사람, 포용’ 등의 가치를 우선시하고 있어 ‘신남방정책 2.0’에서는 일방적인 경제이익에 치중하는 것이 아닌 ‘포용적 파트너십’을 핵심으로 상생번영을 위한 접근이 필요

② 아세안 국가들과 신뢰관계를 형성하며 포용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신남방정책의 추진동력을 지속시킬 필요

③ 개발협력이나 인프라 지원 등 경제외교에 있어 우리나라는 중국이나 일본에 뒤처지고 있어 ‘신남방정책 2.0’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한류’ 등을 활용한 우리나라만의 차별화된 협력 모델 구축이 관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