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30회 투자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 고사] 제3과목 7)투자운용결과분석

by gomu_inspirer 2021. 7. 15.
반응형

1.성과평가 프로세스

①투자자산의 회계처리

②수익률계산

③위험계산

④성과비교

⑤성과 특성 분석

⑥정성평가

⑦성과 발표 및 보고

 

2.성과평가 발달과정

①1960년대

-투자 위험에 대한 인식O

-계량화할 방법을 찾지 못해 수익률 위중의 평가만 함

②1970년대 중반 이전

-성과평가 시작

-본격적인 투자이론 발전 시작

③197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이전

-샤프비율 주로 사용

-위험조정 성과지표를 이용한 투자 성과 해석 가능해짐

④1980년대 중반 이후

-전략적 자산배분 중시

-정보비율 인기

-위험정보 성과평가 + 기준 포트폴리오 → 성과 평가

 

3.회계처리

①발생주의 회계

-발생한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정하는 회계방식

-현금주의 회계 : 현금이 오갈 때 기록하는 방식 → 펀드를 현금주의 방식으로 할 경우 투자자별 손익이 적절히 귀속되지 못함

②체결일 기준

-체결이 확정되는 날 → 회계장부 기록 / 체결일 이후 → 손익 반영

-주식은 3영업일, 채권 익영업일에 결제

 

4.금액가중수익률

①펀드매니저와 투자자의 공동의 노력 → 수익률 효과 혼합

②각 시점별로 성과와 수익률 비교X

$수익률\ =\ \frac{기간말\ 펀드\ 순자산가치\ -\ 기간초\ 펀드\ 순자산가치}{기간초\ 펀드\ 순자산가치}$ =         

 

5.시간가중수익률

①세부기간별 펀드 수익률 계산 → 총수익률 계산

②펀드매니저 운용능력 측정가능

 

6.신규 투자 계획 시 운용사 수익률에 대한 고려사항

①대표펀드의 문제

②생존계정의 오류

③성과 이전가능성

④시간에 따른 성과 변동의 문제

 

7.투자위험

①절대적위험

-전체위험 : 표준편차 → 수익률 안정성 중시

-하락위험 : 절대VaR, 하락편차, 반편차, 적자위험 → 목표수익률 추구

②상대적위험

-전체위험 : 베타, 잔차위험, 공분산

-하락위험 : 상대VaR

→장기투자전략, 기준지표가 미리 정해진 투자

 

8.기준지표의 바람직한 특성

①명확성

②투자가능성

③측정가능성

④적합성

⑤투자의견을 반영

⑥사전적으로 결정

 

9.기준지표의 종류

①시장지수

-자산유형에 포함된 모든 대상 종목 → 종합주가지수, 종합채권지수

-시장성, 유동성 낮은 경우 → 시장지수를 기준지표로 할 수 없음

②섹터/스타일지수

-특정 분야에 투자하는 경우 → 가치주, 성장주, 국공채

③합성지수

-2개 이상의 시장지수나 섹터지수를 합성하여 투자

④정상포트폴리오

-일반적인 상황에서 구성하는 포트폴리오 → 채권형 벤치마크(KOBI)

-‘투자가능성’ 제약에 의해 시장지수를 이용할 수 없을 때 대처지표로 사용

⑤맞춤포트폴리오

-특정 펀드의 운용과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 동결포트폴리오

*동류집단수익률 : 유사한 펀드끼리 묶어놓은 수익률

-거래비용 감안하여 투자자들이 행한 의사결정 반영

-복제하거나 투자 불가능, 중립포지션 취할 수 X

 

10.단위 위험당 초과 수익률

①위험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 : 표준편차(총위험), 베타(체계적위험), 추적오차(잔차위험) 등

②샤프비율-CML(자본시장선)원리로 도출

$\frac{펀드\ 평균\ 수익률\ -\ 무위험자산\ 평균\ 수익률}{표준편차}$      

-충분하게 분산 투자하지 않는 투자자에게 적합

-동일한 운용기간, 동일한 기준 포트폴리오 → 평가 및 비교 가능

-3년 이상의 월간수익률로 측정

③트레이너비율-SML(증권시장선)원리로 도출

$\frac{펀드\ 평균\ 수익률\ -\ 무위험자산\ 평균\ 수익률}{베타}$      

-잘 분산된 투자 → 트레이너비율 = 샤프비율

-3년 이상의 월간수익률로 측정

-펀드매니저의 성과 평가가능

④정보비율

$초과수익률\ 이용한\ 정보비율\ =\ \frac{펀드\ 수익률\ -\ 기준지표\ 수익률}{추적오차}$   =     

 

11.위험조정수익률

①위험에 따른 적정수익률을 차감 → 이해하기 쉬움

②젠센의 알파-SML(증권시장선)원리로 도출

$실현수익률\ -\ \left\{\combi{무위험\ 수익률\ +\ \left(벤치마크\ -\ 무위험\ 수익률\right)}\right\}\ X\ 베타$  {  + (   )} X 

-펀드매니저 능력 측정 가능

-절대적인 성과분석을 중요시

 

12.소티노비율

①(펀드의 평균수익률 – 최소 수용가능 수익률) / 하락편차

→ 수익률 / 나쁜 변동성

②수익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을 경우 유용(보통 사프비율을 주로 사용)

 

13.RAROC

(펀드 수익률 – 무위험수익률) / VaR

 

14.기준지표를 이용한 성과분해

포트폴리오 수익률(P) = 시장인덱스수익률(M) + 초과수익률(S, 스타일) + 펀드매니저 능력(A)

①펀드매니저 능력 = 포트폴리오 수익률 – 기준지표 수익률 → 종목선정효과

②초과수익률 = 기준지표 수익률 – 시장 인덱스수익률 → 스타일효과

③인덱스 펀드 = 종목선정효과, 스타일효과가 없음

 

15.시장예측 능력을 평가하는 수리모형

①Treynor-Mazuy : 주가 상승 → 주식투자비중 증가 / 주가 하락 → 주식투자비중 감소(액티브 전략)

②Henriksson-Merton : 기준수익률 상승 시기 시장민감도 > 기준수익률이 하락하는 시기 시장민감도의 형태

→ 시장예측능력이 있는 펀드매니저가 관리

 

16.종목선정능력

①시장 흐름과 무관, 우수 종목 선정 → 기준지표 보다 높은 성과 얻는 것

②젠센의 알파 → 종목선정능력 나타냄(순수하게 종목선정활동을 행한 펀드에 대해서만 판단 가능)

 

17.자산배분전략

①전략적 자산배분

-자산군별 전략적 자산배분수익률 = 전략적 자산구성비율 X 기준지표수익률

②전술적 자산배분

-전술적 자산배분수익률 = (전술적 자산구성비율 – 전략적 자산구성비율) X (기준지표수익률 – 전략적 자산배분 총 수익률)

③실제 포트폴리오

-자산군별 선택능력에 의한 수익률

=(실제수익률 X 전술적 자산구성비율) – (기준지표수익률 X 전술적 자산구성비율)

=(실제수익률 – 기준지표수익률) X 전술적 자산구성비율

 

18.스타일분석

①펀드의 특징과 성과원인을 가장 잘 분석

②주식스타일

-가치주 : 안정적 성장, 고배당 실시 → 저PER, 저PBR, 고배당주

-성장주 : 높은 주가, 성장성 기대 → 고PBR, 고PER

반응형

댓글